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8

김치 이야기 – 우거지부터 '양념김치 혁명'까지 김치 이야기 – 우거지부터 '양념김치 혁명'까지 1. 맑은 국물, 소박한 나물—김치의 탄생김치의 원형은 야생 나물, 무생채, 우거지, 갓과 배추, 오이 등 생채 형태로 소금을 넣고 삭힌 단순한 절임에서 시작합니다.고려~조선 초, 김치는 맑은 소금물이나 약간의 마른 고추, 마늘, 생강, 깨, 들깻가루로 간을 한 뒤 물에 담가두었다가 국물째 떠 먹는 “물김치·나박김치·우거지 김치”가 주류였습니다.이때 김치의 색은 연분홍, 옅은 초록, 맑고 투명했습니다.입 안에서는 신맛과 짠맛, 나물의 쌉쌀함이 아삭아삭 어우러집니다.뚝배기에 담긴 김치국 하나에 들깻가루, 주먹밥, 두부, 조기구이와 곁들여 식사 시간마다 ‘밥맛을 돋우는 조연’이었습니다.오늘의 물김치·보쌈김치와 비슷한 맛이지만 배추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는 .. 2025. 8. 17.
삼계탕과 닭백숙 – 병과 여름, 건강의 전통 스토리 삼계탕과 닭백숙 – 병과 여름, 건강의 전통 스토리 1. 닭백숙의 원류 – 고기 한 마리, 약초 한 줌, 맑은 국물닭백숙은 신선한 토종닭 한 마리를 내장 제거 후 소금을 살짝 뿌리고, 대파·마늘·생강·황기·엄나무 등 건강약초를 듬뿍 넣어 맑은 물, 커다란 솥에 통째로 넣고 약한 불로 오래도록 고아낸 요리입니다.닭고기는 익으면서 부드럽게 살이 찢어지고, 속은 밥알처럼 하얗고, 국물엔 진하고 쌉쌀한 약초향, 닭기름이 고소하게 둥둥 뜨고, 뼈 속까지 우려난 감칠맛이 입안에 진하게 남습니다.삶은 닭을 찢어 냄비에 담고, 국물 한 국자 떠먹으면 고기의 부드러운 단맛과 각종 뿌리채소의 향기, 우리 입맛에 익숙한 진한 닭국물 맛이 퍼집니다.조선 시대에는 흔한 일상식이기보다 영조대『동국세시기』, 『임원경제지』 등에서 .. 2025. 8. 16.
미역국 – 왕비의 생일상부터 민가의 산후조리까지 미역국 – 왕비의 생일상부터 민가의 산후조리까지1. 삼국~조선, 바다의 풀 한 줄기에서 시작된 음식미역은 신라·백제 고분 벽화와 삼국유사에도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바다나물입니다.고대의 미역은 바다 냄새와 함께 검푸르고 투명한 색감이 살아 있고, 삶아 올리면 뚝배기 안에서 진한 감칠맛이 돌며 풋풋한 해조, 바다 짠냄새, 바람의 신선함이 입안을 감쌉니다.햇미역이나 마른미역을 물에 불려 투명하게 만든 뒤, 소고기나 멸치, 생선살을 함께 넣고 약불에서 오래 끓이면 국물은 뽀얗고 달달한, 미역이 스스로 식감과 영양을 풀어내는 부드러움이 남습니다.따끈한 밥 한숟갈, 깍두기, 간장 한 점만으로도 구수함과 건강함, 그리고 생명력의 상징이 더해집니다.미역에는 철분, 칼슘, 아미노산, 비타민 등 산모·아이·노인 누구나 .. 2025. 8. 16.
찜과 조림 – 왕실의 비밀 밥상, 닭찜/갈비찜/굴비조림 이야기 찜과 조림 – 왕실의 비밀 밥상, 닭찜/갈비찜/굴비조림 이야기 1. 닭찜 – 부드러운 살, 깊은 육수, 왕의 보양식닭찜은 신라시대부터 고기와 약초, 두부, 채소를 크지 않은 냄비에 넣고 한참을 푹 익힌 다음,한약재(황기, 대추, 마늘, 생강), 부드러운 양파, 당근, 간장, 청주, 소금 등으로 간을 맞추었습니다.완성된 닭은 손으로 찢어 올리면 껍질은 부드럽고, 속살은 결결이 단백질의 결이 풀어져 혀에 녹아듭니다.국물은 맑고 달콤함과 약재의 쌉쌀함, 닭기름이 조화를 이루어 밥 한 숟가락, 김치 한 조각만 있으면 완벽한 식사가 됩니다. 조선궁중음식서인 『진찬의궤』에서는 “임금의 보양식, 회복식으로 닭찜이 꾸준히 특식 상에 올랐다”고 나타납니다.근대 들어 닭찜은 군불 위에 앉힌 뚝배기 담백한 찜에서, 약재와 .. 2025. 8. 16.
장금이의 궁중 반상 – 수라상에 오른 진짜 궁중 음식 Top5 장금이의 궁중 반상 – 수라상에 오른 진짜 궁중 음식 Top5드라마 덕분에 누구나 ‘장금이’를 궁중 최고의 요리사로 기억하지만 조선 숙종 대에 ‘수라간 상궁 장금(長今)’이라는 실제 인물이 기록에 남아 있습니다.『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장금은 임금의 건강식단을 책임진 수라간 최고 상궁이었고, 새 레시피(전복죽, 행호탕 등) 개발과 엄격한 식재료 관리로 왕, 중전, 세자의 신임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그녀의 손맛은 조선 최고의 국밥, 보양식, 건강식, 디저트까지 궁중 반상 전체를 바꾸어놓았습니다.1. 궁중수라의 심장, 행호탕재료와 맛:장금이의 레시피로 알려진 행호탕(杏糊湯)은 닭고기(오골계, 토종닭), 은행, 밤, 전복, 잣, 그리고 한우 양지와 장국, 대파, 마늘, 고명으로 부드러운 노란.. 2025. 8. 15.
비빔밥 – 한 그릇에 담긴 계급, 명절, 스토리 비빔밥 – 한 그릇에 담긴 계급, 명절, 스토리비빔밥 한 그릇이 각자에게 어떤 의미였을까요? 누군가에게는 신분과 명절을 잇는 특별식이, 누군가에게는 매일매일 주린 배를 달랜 구원자, 혹은 사랑을 나누는 특별한 한 그릇이었습니다.이 글은 실제 기록과 문학, 현대 구술을 바탕으로 비빔밥을 처음 만난 사람들의 생생한 에피소드에 초점을 맞춰 씁니다.입안 가득 울림을 주는 비빔밥이라는 요리에, 건강과 절약, 그리고 평등과 감동이 어떻게 스며들었는지 따라가 봅니다.1. 양반도 시장 상인도, 비빔밥 한 그릇 앞에서 평등했습니다왕실의 반상 – 고종의 비빔밥 이야기:1890년대 고종은 “진찬상차림에서 남은 나물, 구운 고기, 제철 채소를 가족·신하와 함께 아침 비빔밥으로 나눠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고종은 궁중에서 .. 2025.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