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연 조선 왕실 사람들은 어떻게 놀았을까?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라는 드라마 보시나요?
소설 속 세계에 들어가게 된 차선책(서현)은 명문가 자제들 모임에서 현대의 폭탄주 문화를 전파했습니다.
지금은 호텔 뷔페, 1일 1쿠키, 생일파티, 시즌 이벤트 등 ‘파티’ 하면 서양풍부터 떠올리지만,
과거 조선 왕실의 연회와 잔치는 규모, 격식, 먹거리, 놀이 문화까지
현대인도 놀랄 만큼 세련되고 스펙터클했습니다.
실제 조선왕조실록, 의궤 등 사료와 생생한 에피소드, 요즘과 다른 축제/놀이 풍속을 팩트로 풀어봅니다.
1. 왕실 생일파티, ‘진찬(進饌)’의 위엄
- 진찬이란? - 왕, 왕비, 세자, 대왕대비 등의 생신에 거행된 초대형 잔치.
- 『진찬의궤』에는 상차림, 위치, 참가인원, 음식 종류와 레이아웃, 놀이·무용팀, 악사 인원, 선물 등 세부 내용이 모두 기록되었습니다.
- 에피소드:
- 정조 12년(1788) 혜경궁 홍씨 진찬에는 한강 위에 배 10여 척을 띄우고, 가야금병창·무용특공대(극락조무’·‘남무’), 조리, 청주, 수라상 등 음식이 60여 종 넘게 준비됐다는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 왕과 대신, 후궁, 심지어 궁녀들도 특별헌상(유과, 한과, 생선, 과일 등)을 하며 파티에 동참했습니다.
“대왕대비 진찬에 상차림 등 모든 일은 의궤 기록과 같이 하라. 경흥궁(景興宮)에서 취연(翠筵)을 벌였노라.”
– 『진찬의궤』, 『정조실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계절별 왕실 놀이와 축제 : 연등회, 단오잔치, 추석 대추놀이
- 연등회(燃燈會):
- 부처 탄신일(음력 4월), 경복궁·창덕궁 등지는 연등과 등을 높이 매달아 귀족 가족은 물론, 일반 백성까지 함께 야간 불빛놀이+노래+강강술래+술회를 즐겼습니다.
- 실록 기록: “이 날 왕이 팔각등을 들어 무리와 합세하고, 궁중 여성들과 함께 노래·장구춤이 어우러졌다.”
- 민화와 문화유산에도 왕이 등을 들고 행진하는 모습 남아 있음.
- 단오잔치:
- 왕실에서 효성, 장수, 자손 번창을 기원하며, ‘쑥떡·수리취떡, 화전(화과자)’와 함께 씨름, 널뛰기, 그네타기 등 다양한 게임방식으로 놀았습니다.
- 에피소드: 세종대왕이 궁녀들 널뛰기 상금을 직접 내린 것, 중종실록엔 세자와 궁녀가 그네에 올라 시합한 장면 서술.
- 추석 대추놀이:
- “낙성대궁에서 중추의 밤 달구경, 신하와 도란도란 앉아 대추와 포도를 따서 먹는 모임”
- 『중종실록』, 『의궤』 기록: “중추절 세종이 대신들과 달구경하다 시를 나눔, 궁녀들도 밤에 특식을 제공받으며 놀이를 즐김”
“왕이 궁인들과 더불어 연등을 켜고 춤추며 밤을 새우며 흥을 나누었다. 구중궁궐 즐기는 놀이 이 얼마나 즐거운가.”
– 조선후기 궁중일기(『승정원일기』)
3. 음식과 술의 레벨이 다르다! 왕실 연회의 실제
- 진짜 상차림:
- 진찬에는 삼색잡채, 구절판, 사경재, 남탓장, 삼색전병, 강정, 전복, 보쌈김치, 한과 등 진귀한 음식들이 한 상 가득 올려졌습니다
- 수라상에는 주주(酒), 탕평채, 전류(만두류), 갑오징어 산적, 계란찜 등 현대까지 의궤 도록·유물로 남아 있음.
- 주치의와 건배풍속:
- 임금의 건강을 위해 주치의가 잔을 검사, 독극물 검진, 상차림 후 ‘건배’를 올리는 의례도 있었습니다.
- 순조실록(24년/9월): “상진(尙進)이 술을 올리자 왕이 웃으며, 대신과 세 번 건배하였다.”
4. 실록과 민화로 보는 게임과 예능 풍속
- 왕족의 스포츠:
- 격구(鞠), 활쏘기, 윷놀이, 닭싸움, 투호, 쌍륙 등 실제 궁중 놀이문화가 그림(민화, 풍속화)을 통해 묘사되어 있습니다.
- 에피소드: 연산군일기에 “연산군이 호위무사들과 닭싸움에 열중, 때론 궁녀와 투호로 내기까지 했다.”는 특별한 사례가 남습니다. 명종 때는 궁녀 동아리회에서 씨름 집단전을 벌였다는 『명종실록』 기록이 있습니다.
- 음악과 판소리, 무용:
- 진찬, 진연에 왕실 전속 악사단(장악원)이 따라붙으며 대취타, 가야금병창 등 현대 국악에 큰 흔적을 남겼습니다.
- 숙종실록 “왕이 취해 거문고와 춤을 관전하다 박수를 보내며 직접 소리 흉내를 냈다.”
“진찬에서 임금이 직접 시(詩)를 짓고, 왕비가 궁녀들과 춤을 추며 웃음을 멈추지 못했다.”
– 『정조실록』
5. 드라마/현대와의 비교
- 현대와의 차이점: 조선 왕실의 파티는 음식, 놀이, 의식, 선물, 조명, 음악까지 모두 왕실 매뉴얼과 기록에 따라 엄격하게 준비했습니다. 신분, 계절, 성별에 따라 참여 인원과 복장, 예절이 나뉘었고, 파티의 격식과 순서가 세부적으로 정해져 있었습니다.
- 사극·드라마 속: ‘동이’, ‘이산’, ‘장희빈’, ‘대장금’, ‘불멸의 이순신’ 등 드라마에서는 궁중 음식, 국악 공연, 꽃놀이 등 실제보다 더욱 화려하고 극적으로 연회 장면을 꾸몄습니다. 때로 현실보다 단순하게, 혹은 과장되게 각색된 부분도 있었습니다.
참고 자료
『조선왕조실록』, 『의궤』, 『승정원일기』, 『정조실록』, 『중종실록』, 『숙종실록』, 『명종실록』, 국립중앙박물관·고궁박물관 자료, KBS·MBC 사극(이산·장희빈·동이·대장금 등)
반응형
'History & Socie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민의 라이프스타일 비교 : 조선·고려·일제강점기 (5) | 2025.07.27 |
---|---|
타임슬립 패션쇼 – 고대~조선 ‘유행템·패션’ 변화사 (5) | 2025.07.26 |
고려·조선 왕실 ‘연애 금지구역’ : 썸, 연애, 결혼 풍속사 (1) | 2025.07.26 |
실존했던 훈남, 훈녀 왕과 왕족들은 누구? (한국사 미남·미녀 열전) (4) | 2025.07.25 |
한국사 자유 vs 보수 예술가: 황진이와 이이, 나혜석과 윤두서 (2)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