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istory & Society101

찜과 조림 – 왕실의 비밀 밥상, 닭찜/갈비찜/굴비조림 이야기 찜과 조림 – 왕실의 비밀 밥상, 닭찜/갈비찜/굴비조림 이야기1. 닭찜 – 부드러운 살, 깊은 육수, 왕의 보양식닭찜은 신라시대부터 고기와 약초, 두부, 채소를 크지 않은 냄비에 넣고 한참을 푹 익힌 다음,한약재(황기, 대추, 마늘, 생강), 부드러운 양파, 당근, 간장, 청주, 소금 등으로 간을 맞추었습니다.완성된 닭은 손으로 찢어 올리면 껍질은 부드럽고, 속살은 결결이 단백질의 결이 풀어져 혀에 녹아듭니다.국물은 맑고 달콤함과 약재의 쌉쌀함, 닭기름이 조화를 이루어 밥 한 숟가락, 김치 한 조각만 있으면 완벽한 식사가 됩니다. 조선궁중음식서인 『진찬의궤』에서는 “임금의 보양식, 회복식으로 닭찜이 꾸준히 특식 상에 올랐다”고 나타납니다.근대 들어 닭찜은 군불 위에 앉힌 뚝배기 담백한 찜에서, 약재와 육.. 2025. 8. 16.
장금이의 궁중 반상 – 수라상에 오른 진짜 궁중 음식 Top5 장금이의 궁중 반상 – 수라상에 오른 진짜 궁중 음식 Top5오늘날 드라마 덕분에 누구나 ‘장금이’를 궁중 최고의 요리사로 기억하지만 실제로도 조선 숙종 대에 ‘수라간 상궁 장금(長今)’이라는 실제 인물이 기록에 남아 있습니다.『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장금은 임금의 건강식단을 책임진 수라간 최고 상궁이었고, 새 레시피(전복죽, 행호탕 등) 개발과 엄격한 식재료 관리로 왕, 중전, 세자의 신임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그녀의 손맛은 조선 최고의 국밥, 보양식, 건강식, 디저트까지 궁중 반상 전체를 바꾸어놓았습니다.1. 궁중수라의 심장, 행호탕재료와 맛:장금이의 레시피로 알려진 행호탕(杏糊湯)은 닭고기(오골계, 토종닭), 은행, 밤, 전복, 잣, 그리고 한우 양지와 장국, 대파, 마늘, 고명으.. 2025. 8. 15.
비빔밥 – 한 그릇에 담긴 계급, 명절, 스토리 비빔밥 – 한 그릇에 담긴 계급, 명절, 스토리비빔밥 한 그릇이 각자에게 어떤 의미였을까요? 누군가에게는 신분과 명절을 잇는 특별식이, 누군가에게는 매일매일 주린 배를 달랜 구원자, 혹은 사랑을 나누는 특별한 한 그릇이었습니다.이 글은 실제 기록과 문학, 현대 구술을 바탕으로 비빔밥을 처음 만난 사람들의 생생한 에피소드에 초점을 맞춰 씁니다.입안 가득 울림을 주는 비빔밥이라는 요리에, 건강과 절약, 그리고 평등과 감동이 어떻게 스며들었는지 따라가 봅니다.1. 양반도 시장 상인도, 비빔밥 한 그릇 앞에서 평등했습니다왕실의 반상 – 고종의 비빔밥 이야기:1890년대 고종은 “진찬상차림에서 남은 나물, 구운 고기, 제철 채소를 가족·신하와 함께 아침 비빔밥으로 나눠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고종은 궁중에서 .. 2025. 8. 15.
곰탕과 설렁탕 – 국밥 한 그릇이 만든 궁궐·노동의 풍경 곰탕과 설렁탕 – 국밥 한 그릇이 만든 궁궐·노동의 풍경1. 곰탕의 탄생 – 천 년 한우와 불의 시간곰탕은 쇠고기, 내장, 뼈, 힘줄, 양지, 사태, 머릿고기까지 “설렁설렁”—모든 부위를 가마솥에 넣고 천천히 오래 고아낸 투명하면서 우유빛이 감도는 진한 국물입니다.고구려 고분 벽화(무용총, 안악 3호분)에도 큰 솥 앞에서 소고기와 잡뼈를 넣고 끓이는 풍경이 남아 있습니다.고려시대 국립박물관 발굴 자료에서도 대형 솥, 대형 국자, 뼈를 우린 국물 자국의 유물이 발견되고 있습니다.조선시대에는 “궁중 진찬(進饌)의 백미” 중 하나가 도가니, 사골, 등뼈, 무, 파, 마늘, 소금 만으로 감칠맛·깊은 육향을 끌어내는 곰탕이었습니다. 곰탕 국물은 거무스름하게 맑으면서도 혀에 닿자마자 고소·짭짤·은근한 단맛이 올라오.. 2025. 8. 15.
삼국시대의 정수기 – 신라 황룡사 ‘연꽃물탑’과 조수 순환시설 삼국시대의 정수기 – 신라 황룡사 ‘연꽃물탑’과 조수 순환시설오늘날의 정수장치보다 무려 1300년 앞서, 삼국시대 신라에는 ‘물의 찬란한 과학’이 숨겨져 있었습니다.황룡사 경내에는 연꽃, 돌, 탑, 연못이 한데 어우러진 독창적인 ‘연꽃물탑’이 있었고, 자연 정수·순환·냉각·수경 원리가 오늘날 친환경 수처리 시스템과 닮아유물을 보는 이들마다 감탄을 자아내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물유물, 사료, 현대 건축/환경공학 해설을 토대로 신라의 물과 공간에 숨은 ‘정수기’의 과학적 비밀을 흥미롭게 풀어봅니다.1. 황룡사 연못과 연꽃 – 왕궁의 물, 신비의 시작황룡사(皇龍寺, 경주):삼국시대 최대 사찰인 황룡사는 7층 목탑, 넓은 앞마당 연못, 곳곳에 놓인 석조 연꽃장식물로 유명했습니다.『삼국유사』『삼국사기』 모두 .. 2025. 8. 14.
고려의 청자 비색 ‘비밀유약’ – 도공 천재들의 화학실험 고려의 청자 비색 ‘비밀유약’ – 도공 천재들의 화학실험세계 어느 곳의 도자기와도 달랐던청록빛, ‘비색(翡色)’ 고려청자는 어떻게 탄생했을까요?도공 천재들의 끝없는 실험, 섬세한 과학, 첨단 재료와 가마 설계의 승부— 오늘은 발굴 사료와 유물, 최신 복원 연구를 바탕으로 비색의 비밀과 그 시대 도공들의 천재적 도전기를 풀어봤습니다.1. 강진고려청자 – 천혜의 재료, 도공들의 마을강진, 고려청자의 성지:고려 시대 전성기(12~13세기), 전남 강진 일대는 전 청자 생산의 70%를 담당한 ‘도공들의 마을’이었습니다.품질 좋은 고령토, 천연 화장토, 맑은 물과 해풍, 소나무 숯 등 최적의 자연환경이 어우러져 도공들은 최적의 토양과 조건 속에서 수백 번의 실험을 반복했습니다.『고려사』에는 “강진의 자기 공방, .. 2025. 8.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