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3

조선왕실 ‘파티·연회·놀이’ 트렌드 과연 조선 왕실 사람들은 어떻게 놀았을까? 라는 드라마 보시나요? 소설 속 세계에 들어가게 된 차선책(서현)은 명문가 자제들 모임에서 현대의 폭탄주 문화를 전파했습니다. 지금은 호텔 뷔페, 1일 1쿠키, 생일파티, 시즌 이벤트 등 ‘파티’ 하면 서양풍부터 떠올리지만,과거 조선 왕실의 연회와 잔치는 규모, 격식, 먹거리, 놀이 문화까지현대인도 놀랄 만큼 세련되고 스펙터클했습니다.실제 조선왕조실록, 의궤 등 사료와 생생한 에피소드, 요즘과 다른 축제/놀이 풍속을 팩트로 풀어봅니다.1. 왕실 생일파티, ‘진찬(進饌)’의 위엄진찬이란? - 왕, 왕비, 세자, 대왕대비 등의 생신에 거행된 초대형 잔치.『진찬의궤』에는 상차림, 위치, 참가인원, 음식 종류와 레이아웃, 놀이·무용팀, 악사 인원, 선물 등 세부 내.. 2025. 7. 26.
고려·조선 왕실 ‘연애 금지구역’ : 썸, 연애, 결혼 풍속사 고려·조선 왕실 ‘연애 금지구역’ : 썸, 연애, 결혼 풍속사고려와 조선의 왕실에는 사랑도 철저히 ‘법’과 ‘질서’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금기와 통제가 일상적이었던 궁중 연애와 결혼, 왕과 왕비, 왕세자, 공주, 궁녀, 상궁, 심지어 후궁에 이르기까지 사랑 하나로 역사가 요동쳤던 실제 에피소드들과 사료를 모아봅니다.1. 신분과 혈통의 울타리 – 왕실 연애, 결혼의 절대 조건절대적 중매 결혼:고려는 혼인정책(왕실끼리 혹은 최고 귀족 혼사)이 국시였고, 조선도 『경국대전』, 『국조오례의』 등 국법에 따라 반포된 엄격한 중매·혼처 규정이 있었습니다.예: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세종은 13세에 관례를 치루자마자 명문 청주 한씨 집안 여성과 정략적 혼례. 혼인을 거부하거나 몰래 연이 있는 경.. 2025. 7. 26.
실존했던 훈남, 훈녀 왕과 왕족들은 누구? (한국사 미남·미녀 열전) 훈남, 훈녀 조상님들은 누구일까?실록과 기록, 그리고 신화적 전설을 거치며‘훈남’, ‘훈녀’로 불릴 정도로 잘생김/아름다움이 화제였던 왕, 왕족이 분명 존재했습니다.오늘은 그중 가장 흥미로운 에피소드 중심으로, 드라마/영화 속 캐스팅과도 비교해 “진짜 한국사 미남미녀”를 탐구합니다!1. 고려의 미남왕, 충렬왕 – “여인의 마음을 훔치던 왕”에피소드: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은 몽골 원나라의 세조쿠빌라이 칸의 외손『고려사』에는 왕의 준수한 외모와 기품, 키와 체격에 대한 칭찬이 반복됩니다.심지어 연등회, 궁중 연회에서 "그 얼굴만 봐도 백성 모두가 탄복했다"는 기록도 있죠.“신체가 빼어나고 이목구비가 뚜렷해, 젊은 시절엔 보는 이마다 감탄하였다.” – 『고려사』 충렬왕세가 충렬왕은 원나라 공주 .. 2025. 7. 25.
한국사 자유 vs 보수 예술가: 황진이와 이이, 나혜석과 윤두서 한국사 자유 vs 보수 예술가 비교! 한국사에는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가들이 있었습니다. 어떤 이는 전통과 사회의 도덕적 틀에 맞서 자신답게 살며 노래했고, 어떤 이는 예술을 엄격한 규범과 품격의 길로 삼으며 진지하게 평생을 수련했습니다.이렇게 명확히 대비되는 예술가 두 쌍, 황진이 vs 이이(율곡)·나혜석 vs 윤두서의 삶과 철학을 사료와 실제 어록, 구전, 팩트 체크까지 곁들여 깊이 있게 살펴봅니다.1. 조선의 자유인 vs 규범의 상징: 황진이와 이이(율곡) 황진이(黃眞伊, 1506?~1560?) – 자유의 기생, 예술을 뛰어넘었던 여인황진이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여성 시인, 기생이었습니다. 실제 그녀의 삶과 예술관은 “구속을 거부하고, 스스로를 긍정하는 인간”에 가까웠습니다.사료·에피소드:실제 『청.. 2025. 7. 25.
조선왕조 훈남 vs 흔남! 왕과 왕족이라도 피할 수 없는 그 시절 외모평가가 궁금해?너무 잘생겨서, 너무 평범해서, 혹은 너무 독특해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조선의 왕과 왕자들! 실록, 사서 속 외모 평가와 실제 왕실에서 벌어진 “레전드 장면”을 에피소드별로 모았습니다.훈남 그룹 – 사료가 인정한 '한국사 미남'의 순간들1. 단종 – 어린 미소년, 아련함의 대명사“단종 임금은 얼굴이 어여쁘고, 피부가 희며, 음성이 청아하였다. 왕위를 잃고 멀리 유배되자, 백성들마저 ‘임금 얼굴이 아까워 눈물이 난다’ 하였다.” – 『세조실록』, 『단종애사』 단종은 조선 왕실에서 “미모+아련함”의 대표. 유배지에 간 뒤에도 마을 처녀, 심지어 궁녀 출신들까지 단종을 보기 위해 몰래 양반집 담을 넘었다는 전설이 남아 있습니다. 실제 ‘관상’(김.. 2025. 7. 25.
역사 속 남매·형제자매의 애틋하거나 비극적인 이야기 역사 속 현실남매의 모습은 어땠을까요?피보다 진하고, 때로는 경쟁과 질투, 권력과 애틋함이 교차하는 남매·형제자매 관계. 한국사의 큰 흐름 속에서도 수많은 왕실과 명문가에서 운명이 갈린 남매의 드라마가 펼쳐졌습니다.오늘은 효명세자와 명헌왕후, 광종과 혜종, 장희빈과 장희재 등 사료에 명확히 기록된 인물들의 에피소드와, 드라마·문학에서 각색된 모습을 함께 비교해봅니다. 1. ‘슬픈 희망’ 조선의 남매, 효명세자와 명헌왕후조선 왕실에서 가장 애틋한 남매로 손꼽히는 이들이 바로 순조와 순원왕후의 자녀 효명세자(1809~1830)와 명헌왕후(1821~1899/헌종의 어머니)입니다.『순조실록』과 『헌종실록』, 『효명세자문집』 등에 따르면 두 남매는 어릴 적부터 서로를 아끼는 정이 각별했다고 합니다. 효명세자는 동.. 2025. 7. 25.
반응형